양도소득세는 그 범주가 범주가 다양하며
과세대상과 비과세 대상까지 면밀히 따져 볼 점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하지만 보통 양도소득세와 관련된 업무를 볼 일이 자주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 반면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이 글에서는 양도소득세 중 1가구 2주택자의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과 관련된 내용이 명확해 질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는 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1. 소득세법에 따른 비과세 요건 알아보기
보통 2주택의 경우 주택 양도시 양도세 과세 대상에 포함이 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소득세 법에 따르면 2주택자도 양도세 비과세 대상에 속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득세법에 따른 비과세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세법 89조 1항 '나'에 따르면
1가구가 1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대체 취득하거나
상속, 동거봉양, 혼인 등으로 인해 2주택을 보유하는 경우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2. 일시적 1가구 2주택자 비과세 기준
일시적으로 상속, 동거봉양, 혼인 등으로 인해 2주택을 보유하는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그 기준과 대상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상속에 따른 2주택 취득시
기존 보유 주택에 관해 상속으로 인한 2주택자가 됐을 경우 양도세가 면제됩니다.
(2) 증여에 의한 2주택 취득시
기존 주택 2년이상 보유 한 후 새로운 주택을 취득시에 3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처분하고
매도 가격은 9억원 이하일 경우 양도세를 면제 받습니다.
(3) 혼인으로 인한 2주택 취득시
각각의 1주택 보유자인 개인 2명이 혼인하여 1세대 2주택자가 된 경우에
혼인한 날이후로 5년 이내에 주택 양도시 1세대 1주택으로 간주해
비과세 규정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4) 노부모 봉양에 의한 2주택 취득시
노부모의 봉양을 위해서 1주택의 직계 존속과 세대가 합가할 시
합가 한 날 이후 10년 이내에 양도하는 주택은 양도세가 면제됩니다.
(5) 취학, 일자리, 질병의 치료, 학교 폭력에 의한 전학 등으로 2주택 취득시
상의 이유와 같은 부득이한 경우에 일반 주택과 수도권 밖 주택을 소유하는 1세대가
해소한 날 이후로부터 3년 이내에 일반 주택 양도시 비과세 대상에 속합니다.
3. 조정 대상 지역에 따른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종전 주택을 1세대가 취득한 후 1년이 지나 새로운 주택을 취득했다고 할 경우
취득한 날로부터 조정 대상 지역의 경우는 1년을,
아닐 경우 3년 이내의 보유기간을 가질 시
종전 주택이 비과세 요건을 충족할 경우에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비과세 대상에 속합니다.
이렇게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적용 대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세요
실종아동찾기협회
댓글